티스토리 뷰

해설

간만에 레벨2 문제를 풀었다.

이해가 어려웠던 문제중 하나. 숫자의 집합에서 숫자들로 집합을 만드는데 (1,2,3,4) 의 숫자 집합이 있다고 하면 무조건 앞에서부터 이어진 집합을 만들어야 한다. 따라서 나올 수 있는 집합은 {1}, {1,2}, {1,2,3}, {1,2,3,4} 가 나온다. 근데 만드는 집합에서 숫자를 섞어서 만들 수 있다고 했으니 세 번째인 {1,2,3}이 {3,2,1} 로 만들어져서 나올 수 있단 소리다.

 

풀이는 정말정말 간단하다.

무조건 제일 앞에 있는 숫자부터 연속이 되게 해야 하므로 숫자 1개 짜리가 가장 앞에 있는 숫자가 된다! 그 뒤로 2번 집합의 순서를 알려고 하면 1번 집합이 어떤 수를 가지고 있었는지만 알면 된다.

나는 쉽게 하려고 전체 데이터를 가진 map을 만들고 그 map을 복사해서 사용했다.

오히려 레벨 2 문제가 이런저런 자료구조를 짬뽕해서 쓰기 재밌는것 같다.


문제 설명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(a1, a2, a3, ..., an)
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1.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  2.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  3.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 중복되는 원소가 없는 튜플 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  •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  •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
코드
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map>

using namespace std;

bool Comp(vector<string> a1, vector<string> a2)
{
    if (a1.size() < a2.size())
        return true;
    else
        return false;
}

vector<int> solution(string s) {
    vector<int> answer;
    vector<vector<string>> StrVec;
    vector<string> InputVec;
    string InputStr;
    for (const auto c : s)
    {
        if (c == '{')
            InputVec.clear();
        else if (c == '}')
        {
            if(InputStr.size() != 0)
                InputVec.push_back(InputStr);
            StrVec.push_back(InputVec);
        }
        else
        {
            if (c == ',')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InputVec.push_back(InputStr);
                InputStr.clear()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
                InputStr += c;
        }      
    }
    StrVec.pop_back();
    sort(StrVec.begin(), StrVec.end(), Comp);
    map<int, int> m;
    answer.push_back(stoi(StrVec[0][0]));
    m[stoi(StrVec[0][0])]++;

    for (int i = 1; i < StrVec.size(); i++)
    {
        map<int, int> copyMap = m;

        for (int j = 0; j < StrVec[i].size(); j++)
        {
            int curInt = stoi(StrVec[i][j]);
            if (copyMap.find(curInt) == copyMap.end() || copyMap[curInt] <= 0)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m[curInt]++;
                answer.push_back(curInt)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
                copyMap[curInt]--;
        }
    }

    return answer;
}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