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디자인 패턴 - 행동 패턴 10개 중 중재자 패턴 옵저버 패턴 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한다. 반복자는 포스팅 하지 않으려고 한다! 중재자 패턴 중재자 패턴은 혼란스러운 의존 관계들을 줄일 수 있는 행동 디자인 패턴이다. 객체간의 직접 통신을 제한하고 중재자 객체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. 중재자 없이 각 객체간의 통신만을 하게 되면 객체의 소통 모형은 다음과 같아진다. 중재자 패턴을 사용하면 위의 복잡한 상관 관계를 줄일 수 있다. 이렇게 되면 객체간의 의존 관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사용도 용이해진다. 중재자 패턴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. 단일 책임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다. 개팡 폐쇄 원칙을 준수한다. 프로그램의 다양한 컴포넌트 간 결합도를 줄일 수 있다. 개별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..

디자인 패턴 - 행동 패턴 10개중 책임 연쇄 패턴 커맨드 패턴 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. 책임 연쇄 패턴 책임 연쇄 패턴은 핸들러들의 체인을 따라 요청을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행동 디자인 패턴이다. 각 핸들러는 요청을 받으면 요청을 처리할 지 아니면 다음 핸들러로 전달할지를 결정한다. 책임 연쇄 패턴은 2가지의 모습이 있다. 다음은 첫 번째 모습이다. 핸들러가 직렬으로 연결되어 있다. 핸들러는 요청을 받으면 요청을 처리하고 독립 실행 객체를 반환하여 다음 핸들러에 넘긴다. 물론 핸들러를 거치면서 중간에 종료될 수 있다. 이 때는 뒤의 핸들러들은 요청을 처리할 기회 조차 없다. 두 번째 책임 연쇄 패턴이다. 핸들러는 요청을 처리 받아도 처리 가능 / 불가능 으로만 구분한다. 그래서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채팅서버
- 힙
- Ue
- UE5
- C++
- 디자인 패턴
- 누적합
- 고득점 Kit
- LV2
- 고득점kit
- 스택/큐
- 탐욕법
- sort
- 완전탐색
- Unreal 5.1
- DFS
- IMGUI
- 너비우선탐색
- 재귀
- BFS
- 개인공부
- FPS
- LV3
- 프로그래머스
- level3
- Heap
- greedy
- 데디케이티드
- 정렬
- 해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