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디자인 패턴 - 행동 패턴 10개 중
- 중재자 패턴
- 옵저버 패턴
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한다.
반복자는 포스팅 하지 않으려고 한다!
중재자 패턴
중재자 패턴은 혼란스러운 의존 관계들을 줄일 수 있는 행동 디자인 패턴이다.
객체간의 직접 통신을 제한하고 중재자 객체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.
중재자 없이 각 객체간의 통신만을 하게 되면 객체의 소통 모형은 다음과 같아진다.
중재자 패턴을 사용하면 위의 복잡한 상관 관계를 줄일 수 있다.
이렇게 되면 객체간의 의존 관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사용도 용이해진다.
중재자 패턴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.
- 단일 책임 원칙을 위배하지 않는다.
- 개팡 폐쇄 원칙을 준수한다.
- 프로그램의 다양한 컴포넌트 간 결합도를 줄일 수 있다.
- 개별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쉬워진다.
단점도 있다.
- 중재자가 전지전능한 객체가 되어 버릴 수 있다.
옵저버 패턴
여러 객체에게 자신이 관찰중인 객체에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보내는 구독 매커니즘이다.
상시로 변하는 객체가 있다. 이 객체의 상태를 알아야 하는 객체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
먼저 변화하는 상태를 알아야 하는 객체의 리스트를 작성해둔다. 그 리스트의 객체들에게만 변화를 알리는 알림을 보내면 모든 객체들에게 알림을 보내지 않아도 된다.
객체에 옵저버를 두면 객체가 변화할 때 옵저버 안의 구독자 list를 참조하여 자신의 변화를 알려주게 된다.
이런 옵저버 패턴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.
- 개방 폐쇄 원칙을 준수한다.
- 런타임에 객체간의 관계를 형성 가능하다.
하지만 단점도 있다.
- 구독자 list안에 있는 객체들은 객체의 변화가 무관하더라도 알림을 무조건으로 받아야한다.
'공부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디자인 패턴 ] 행동 패턴 - 템플릿 메서드, 전략 (0) | 2023.06.01 |
---|---|
[ 디자인 패턴 ] 행동 패턴 - 메멘토, 상태, 비지터 (0) | 2023.06.01 |
[ 디자인 패턴 ] 행동 패턴 - 책임 연쇄 패턴, 커맨드 패턴 (0) | 2023.05.30 |
스마트 포인터 (0) | 2023.05.23 |
템플릿 메타 프로그래밍 (0) | 2023.05.23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ort
- Ue
- UE5
- C++
- IMGUI
- Heap
- 데디케이티드
- 개인공부
- 프로그래머스
- 해시
- greedy
- 고득점 Kit
- FPS
- LV3
- Unreal 5.1
- 너비우선탐색
- 탐욕법
- 고득점kit
- 힙
- 누적합
- BFS
- 채팅서버
- DFS
- 재귀
- 정렬
- level3
- 디자인 패턴
- LV2
- 완전탐색
- 스택/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